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플러터 설치 2022
- 멤버변수
- jvm 작동 원리
- 큐 자바 코드
- android ar 개발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클래스
- ANR이란
- 2022 플러터 설치
- 자바 다형성
- android retrofit login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jvm이란
- rxjava cold observable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rxjava disposable
- 서비스 vs 쓰레드
- ar vr 차이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Rxjava Observable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안드로이드 os 구조
- 스택 큐 차이
- 객체
- rxjava hot observable
- 스택 자바 코드
- Today
- Total
목록PHP (39)
나만을 위한 블로그
※ 이 글은 버추얼박스에 CentOS 7을 설치한 상태에서 진행함 1. 버추얼 박스의 센토스 7을 우클릭한 후 설정 -> 공유 폴더를 누른다 2. 머신 폴더와 임시 폴더가 있다. 머신 폴더에 공유 폴더를 설정한다. 머신 폴더를 우클릭하면 공유 폴더 추가라는 탭이 나오는데 이걸 클릭 3. 폴더 경로 옆의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를 눌러 기타를 누른다. 그러면 호스트 컴퓨터에서 어떤 폴더를 공유 폴더로 할 건지 선택할 수 있다. 원하는 폴더를 클릭하고 폴더 선택 클릭 4. 폴더를 선택하면 폴더 경로에 내가 선택한 폴더의 경로가 자동으로 적힌다. 폴더 이름 또한 선택한 폴더 이름으로 될 것이다. 여기서 밑에 있는 자동 마운트와 항상 사용하기만 체크한다. 읽기 전용은 하지 않았다. 5. 확인을 누르면 머신 폴더 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Xl07/btqBxAEUWwn/8b6sqnkSExJcGmsb1avbH1/img.png)
※ 이 글은 가상 머신에 리눅스와 APM 연동한 상태에서 진행함. 즉 윈도우 위에서 가상머신으로 리눅스를 돌리는 상태임 ※ MySQL 외부 접속 툴은 하이디 SQL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것 기준으로 기록함 참고한 사이트 : https://www.everdevel.com/open-source/naver-smart-editor.php everdevel 웹 입문 사이트 에버디벨 - HTML, CSS, JavaScript, jQuery, MySQL ,PHP를 다룹니다. www.everdevel.com 내 웹 페이지의 게시판에 글과 사진을 함께 올리고 싶어졌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니 스마트 에디터라는 게 있다더라. CKEditor,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 등 종류가 여러가지 있었지만 옛날에 어떤 네이버 카페에서 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6Ixd/btqBrBLZyUS/ugTeeujErTu8YzIX1kTdJK/img.png)
참고한 사이트 : https://m.blog.naver.com/crehacktive3/221025481033 Visual Studio Code에서 SFTP 동기화 기능 이용하기 최근 들어서 계속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볍기도 하고 디자인도 괜찮아서 사용하게... blog.naver.com 윈도우에 설치했던 아톰이 SFTP 연결만 하면 몇 초 뒤에 The editor has crashed 에러를 뿜으며 흰 화면을 내뱉고 죽고 리눅스에 아톰을 설치하니 속도가 너무 느리고 phpstorm은 설명한답시고 올려둔 자료들이 개떡같고 원하는 자료도 없어서 이것들 말고 다른 무료 php 편집기를 찾았다. 그러다 안드로이드 공부할 때 예제 코드 미리 보는 용도로 다운받았던 비주얼 스튜디..
언제부턴가 포트 포워딩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해결을 못하고 결국 리눅스를 재설치한 뒤 웹 페이지 코드들과 DB 설정들을 복구했다. 그런데 게시판에 들어가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mysqli::__construct(): The server requested authentication method unknown to the client [caching_sha2_password] in ~~~ construct(): 뒤의 문장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지지 않은 인증 방법을 요청했습니다' 라는 뜻이다. 인증 방법? 인증 방법이란 말이 왜 튀어나왔을까....뭘 인증한단 거지? 내가 권한을 가진 사람인지를 인증한다는 뜻인가? 이런 생각을 하면서 에러 문구를 그대로 구글에 붙여넣었다. 그러자 내 눈에 바..
CentOS 7에 아톰을 설치한 후 곧바로 파일의 이름을 바꾸려 하면 Permission Denied가 작게 출력되면서 바꿀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chmod -R 777을 사용해서 index.html의 권한 및 웹 루트 디렉토리인 htdocs(내 경우는 htdocs기 때문에 이것 중심으로 설명함)의 권한을 바꿔주면 해결된다. # cd /usr/local/src/apache2/htdocs # chmod -R 777 index.html 이렇게 하면 index.html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cd .. 명령어로 htdocs 안으로 이동한 뒤 chmod -R 777 htdocs를 쳐주면 htdocs 폴더를 읽고 쓰고 변경할 수 있게 바뀌어 센토스 안의 아톰에서 자유..
참고한 사이트 : http://blog.freezner.com/archives/480 [MySQL] ‘/var/lib/mysql/mysql.sock’ (111) 에러 해결방법 보통 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mysql 을 패키지(RPM)으로 설치하는 케이스입니다. 설치하고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재부팅이나 재시작시 mysql이 동작되지 않고 아래 에러 메세지를 토해냅니다. Another MySQL daemon already running with the same unix socket. 그리고 mysql로 접… blog.freezner.com 안드로이드와 MySQL을 연동해 앱을 만들다 기능 테스트 도중 갑자기 MySQL이 먹통이 됐다. 자세히 말하면, mysql -uroot -p 입력 후..
페이징까지 예제 코드를 사용한 후 똑같은 코드로 다른 게시판을 만들었는데, 페이징 부분에서 생긴 에러인지 어디에서 생긴지는 잘 모르지만 제목과 같은 에러가 떴다. Fatal error: Uncaught Error: Call to undefined function mb_substr() 일단 모든 에러 타이틀을 구글과 네이버에서 검색해봤다. 그 결과 나오는 해결책들은 아래와 같았다. https://www.inmotionhosting.com/support/website/error-numbers/fatal-error-call-to-undefined-function-error/ Fatal error: Call to undefined function mb_substr() Error, InMotion Hosting ..
아톰을 켠 상태에서 상단 탭 가장 왼쪽에 있는 File -> Stylesheet를 클릭한다. 그럼 styles.less 라는 이름의 파일이 나온다. 이 때 나오는 내용이 아무것도 없다면 아래의 내용을 그대로 복붙한다. 난 센토스(리눅스)에 아톰을 설치했는데, 내 경우에는 Edit 탭을 누르니 하단에 Stylesheet가 보였다. File 탭을 눌러도 나오는 게 없다면 바로 옆의 Edit 탭을 눌러서도 확인해보자 atom-text-editor::shadow .comment { // 이 안의 color 값을 바꾸면 주석 색깔이 바뀐다 color: #F3F781; font-style: normal; } atom-text-editor::shadow .punctuation.definition.comment { /..
게시판을 만들고 이 안에서 글을 작성하기 위해 INSERT 문을 사용했는데, 글 작성이 완료됐다는 alert는 정상 출력되지만 DB에 저장도 안 되고 게시판 안에 출력되지도 않았다.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해봤다. 1. DB 설정 오류 2. SQL문 오타(컬럼명과 값 이름 등) 3. php 변수 오타 4. DB 연결 안 됐는데 난 됐다고 생각한 걸지도? 먼저 4번 원인부터 확인했다. DB 연결은 아래와 같이 했다. session_start(); header('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utf-8인코딩 $db = new mysqli("localhost", "root", "비밀번호", "DB 이름"); $db->set_charset("utf8"); funct..
참고한 사이트 : http://www.deadfire.net/jscript/projscript003.html 자바스크립트 console.log 사용법 2.1 console 객체 기존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디버깅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바로 alert()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찍어보는 것이었다. alert()을 사용하는 방법은 훌륭하진 않지만,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꽤 쓸만한 디버깅 방법이다. 다만, 일일이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는 일은 불편했던 것이 사실이다. 가끔 for루틴 안에 alert()을 넣고 돌리는 황당한 경험을 한두번씩 했을 것이다. 경험상, 디버깅시에 로그파일에 필요한 정 www.deadfire.net Node.js 예제를 공부하다 console.log()를 보고 어떻게 쓰는지 궁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