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2022 플러터 설치
- 스택 큐 차이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android retrofit login
- 객체
- 플러터 설치 2022
- 클래스
- 큐 자바 코드
- ar vr 차이
- rxjava cold observable
- 안드로이드 os 구조
- 자바 다형성
- 서비스 vs 쓰레드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스택 자바 코드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rxjava disposable
- 멤버변수
- android ar 개발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ANR이란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Rxjava Observable
- rxjava hot observable
- jvm이란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jvm 작동 원리
- Today
- Total
목록Android (402)
나만을 위한 블로그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서 인텐트에 대해 말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intents-filters?hl=ko 인텐트 및 인텐트 필터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 Intent is a messaging object you can use to request an action from another app component . Although intents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in several ways, there are three fundamental use cases: An Activity represents a single s..

둘의 구현은 자주 해봤지만 차이점이라던가 언제 쓰는 게 좋은지 같은 이론적인 부분은 취약하다고 생각해 공부한 다음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액티비티에 대해서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서 말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activities/intro-activities?hl=ko 활동 소개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활동은 사용자가 전화 걸기, 사진 찍기, 이메일 보내기 또는 지도 보기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입니다. 각 활동에는 사용자 인터페 developer.android.com 액티비티는 앱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진입점 역할을 한..

MVVM 패턴을 구현하면 필수적으로 뷰모델이란 걸 구현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 뷰모델은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인가?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선 이렇게 말한다. https://developer.android.com/topic/libraries/architecture/viewmodel?hl=ko ViewModel 개요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ViewModel을 사용하면 수명 주기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UI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developer.android.com 뷰모델 클래스는 수명 주기를 고려해 UI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됐다. 뷰모델 클래스를 사용하면 화면 회전 같이 구성을 변경할 때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
서비스는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중 하나로, 백그라운드에서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사용을 고려할 수 있는 컴포넌트다. 그러나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는 작업이라고 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건 아니다.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서 말하는 서비스는 아래와 같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services?hl=ko 서비스 개요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서비스 개요 Service는 백그라운드에서 오래 실행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가 서비스를 시developer.android.com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오래 실행되는 작업..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선 인텐트 필터를 이렇게 말하고 있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intents-filters?hl=ko 인텐트 및 인텐트 필터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 Intent is a messaging object you can use to request an action from another app component . Although intents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in several ways, there are three fundamental use cases: An Activity represents a single scree..

플레이 스토어에 앱을 등록하려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aab 파일을 만드는데 생성 시점에서 갑자기 이런 에러가 났다. 이 에러가 나는 이유는 별 거 아니었다. 에러가 발생한 정확한 순간은 저 두 곳에 각각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Remember Passwords를 입력하고 한번 실행한 다음, 비밀번호 저장했으니 알아서 저장됐겠거니 하고 수정한 다음 다시 생성했을 때 발생했었다. 내 경우 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를 누르고 다시 입력하니 성공했다. 좀 더 찾아보니 저 순간에 윗부분, 밑부분에 입력한 패스워드가 달라서 제목의 에러가 발생한 것이었다. 아래 링크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144093/f..
프래그먼트에서 뷰모델을 사용하는데 갑자기 빌드가 되지 않았다. 해결방법을 검색해보니 AndroidViewModel을 상속해 만든 뷰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클래스를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public class SetViewModelFactory implements ViewModelProvider.Factory { private Application application; public SetViewModelFactory(Application application) { this.application = application; } @NonNull @Override public T create(@NonNull Class aClass) { return (T) new MainViewModel(ap..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다 보면 아주 가끔 Application이란 이름의 클래스를 써야 할 때가 있다. 이 클래스는 왜 있는 거고 뭐에 쓰는 걸까?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서 말하는 application 클래스는 아래와 같다.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app/Application Application | Android Developers developer.android.com 전역 응용 프로그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 클래스다. 하위 클래스를 만들고 이 하위 클래스의 정규화된 이름을 매니페스트의 태그에서 "android:name" 속성으로 지정해 고유한 구현을 제공할 수 있다. Application 클래스 또는 Application 클래스의 하위 ..

이번 포스팅에선 안드로이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의존성 주입이 무엇이고 왜 쓰는지 등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의존성이란 무엇일까? 사전에서 말하는 의존성과 주입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의존성 : 다른 것에 의지하여 생활하거나 존재하는 성질 주입 : 흘러 들어가도록 부어 넣음 그럼 안드로이드에서 말하는 의존성이란 무엇일까? https://www.raywenderlich.com/books/advanced-android-app-architecture/v1.0/chapters/5-dependency-injection Advanced Android App Architecture, Chapter 5: Dependency Injection An important concept in writing testable co..
둘 다 LiveData의 값을 바꾸는 메서드지만 정의부터 다르다. 먼저 각 메서드의 원형은 아래와 같다. setValue(T value) postValue(T value)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x/lifecycle/LiveData#setValue(T) LiveData | Android Developers LiveData public abstract class LiveData extends Object java.lang.Object ↳ androidx.lifecycle.LiveData Known indirect subclasses MediatorLiveData LiveData subclass which may observe other L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