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xjava cold observable
- jvm이란
- 클래스
- 플러터 설치 2022
- 스택 큐 차이
- android ar 개발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2022 플러터 설치
- Rxjava Observable
- 객체
- 안드로이드 os 구조
- rxjava disposable
- 자바 다형성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큐 자바 코드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ar vr 차이
- ANR이란
- android retrofit login
- 멤버변수
- rxjava hot observable
- jvm 작동 원리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서비스 vs 쓰레드
- 스택 자바 코드
- Today
- Total
목록Android (402)
나만을 위한 블로그

자투리 시간에 UI 테스트를 짜려고 하는데 어떻게 짜야할지 몰라서 찾아보다가 발견해서 나중에 다시 보려고 포스팅한다. 탭 레이아웃과 뷰페이저2를 사용했고 탭은 5개를 만들었다. 프래그먼트를 대충 5개 만들고 프래그먼트의 코틀린 코드는 아무것도 없으며 XML은 텍스트뷰의 숫자만 프래그먼트별로 바꿨다.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x.fragment.app.Fragment import android.view.LayoutInflater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view.ViewGroup import com.example.kotlinprac.R class TestFirstragment : Fragment() { overrid..

미디엄을 훑어보다가 AvatarView란 것을 설명하는 글이 있어 읽어보다가 급 포스팅 땡겨서 작성한다. 내가 읽은 미디엄 글은 아래 링크다. https://proandroiddev.com/avatarview-for-android-take-your-profile-images-to-the-next-level-2c0c6e06911c AvatarView for Android: Take Your Profile Images to the Next Level Profile images are an essential part of any modern-day app. Stream recently announced the open-source AvatarView for Android library so you… proan..

스크롤을 할 때 사용자가 보는 글자가 툴바로 올라가면서 밑에 있던 내용들이 올라오는 화면을 만들어야 해서 찾아보니 CollapsingToolbarLayout이란 걸 응용해서 만드는 예제들이 많아 이 레이아웃에 대해 공부하는 포스팅을 적는다. 이 레이아웃에 대해 설명하는 안드로이드 디벨로퍼 링크는 아래와 같다. 본문 내용 일부도 같이 남긴다.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com/google/android/material/appbar/CollapsingToolbarLayout CollapsingToolbarLayout | Android Developers developer.android.com CollapsingToolbarLayout은 축소 앱 바를 구현하는 툴바..

Navigation의 뜻은 아래와 같다. 항해, 길을 찾다, (힘들거나 복잡한 상황을) 다루다 그럼 Navigation Component는 시작지에서 어떤 목적지로 이동하는 걸 도와주는 컴포넌트라고 생각된다. 안드로이드 디벨로퍼에서 설명하는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아래와 같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navigation?hl=ko 탐색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droid Jetpack의 탐색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앱에서 탐색 구현 developer.android.com 네비게이션은 사용자가 앱 내의 여러 컨텐츠를 탐색하고 그곳에 들어갔다 나올 수 있게 하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안드로이드 제트팩의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단순한 ..

최근 미디엄에서 안드로이드 관련 게시물을 보다가 간간이 Ktor라는 걸 레트로핏과 비교하는 글을 여럿 봤다. 레트로핏과 비교하는 거라면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란 건데 이게 뭔지 알아보고자 포스팅한다. Ktor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는 Ktor는 아래와 같다. https://ktor.io/docs/welcome.html Welcome | Ktor ktor.io Ktor는 웹 앱, HTTP 서비스, 모바일 및 브라우저 앱과 같은 연결된 앱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다. 최신 연결 앱은 사용자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비동기 방식이어야 하며 코틀린 코루틴은 쉽고 간단하게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Ktor의 목표는 연결된 앱을 위한 종단 간(end-to-end) 멀티플랫폼 프레임워..

쉐어드 프리퍼런스는 보통 알람 설정같은 T/F 값 등의 간단한 값을 저장할 때 쓰곤 한다. 그러나 서버에서 받은 인증 토큰을 저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복잡한 암호화, 복호화 함수를 따로 유틸 함수로 만든 뒤 사용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처음 로그인할 때 암호화 과정이 너무 느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다가 제목에 쓴 EncryptedSharedPreference라는 걸 알게 됐다. https://developer.android.com/topic/security/data?hl=ko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더 안전하게 데이터 사용 Android Jetpack의 구성요소 보안 라이브러리는 저장 데이터 읽기 및 쓰기와 관련된 보안 권장사항..

※ 이 포스팅은 윈도우 기준으로 작성됐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은 이전 포스팅인 네이버 로그인 구현과 같다. 구글 로그인은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해서 진행한다. 그래서 사용해야 하는 사이트는 크게 2가지다. 파이어베이스 콘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은 OAuth 설정을 위해서 사용한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FCM까지 붙일 프로젝트라면 프로젝트 패키지명의 example을 다른 문자열로 바꾼다. 이 포스팅은 예제기 때문에 example인 상태로 진행한다. 먼저 파이어베이스 콘솔에 접속해서 프로젝트를 하나 판다. https://console.firebase.google.com/u/0/?hl=ko 로그인 - Google 계정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계정으로 로그..

오른쪽 위에 보면 세로로 Gradle이라고 써진 탭이 있다. 이걸 클릭한다. 그리고 왼쪽 위의 코끼리 아이콘을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올 것이다. 저 상태에서 signingReport라고 치면 로그캣 위치에 새 창이 올라오면서 잠시 후 SHA-1 키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내 경우 이미 확인했기 때문에 Recent에 표시된다. 참고한 사이트) https://singo112ok.tistory.com/49 Android Studio에서 디버그 서명 인증서 SHA-1 확인하는법 작성자의 경우 Firebase 등록시 디버그 서명 인증서가 필요하여 확인이 필요했다 1. 우측상단에 코끼리 아이콘의 Gradle버튼을 누른다 (없다면 View -> Tool Windows -> Gradle을 누른다) ..

뷰페이저도 만들고 나면 까먹기 딱 좋은 소재라서 구현한 김에 적어둔다. 먼저 이미지 슬라이더를 만들 거니까 필요한 이미지를 준비한다. 대충 무료 이미지 검색해서 찾은 아래 이미지를 써도 되지만 네 귀퉁이가 둥근 이미지가 좀 더 보기 이쁘다. 아래 이미지는 구현을 위해 준비한 것이니 각자 사정에 맞게 적당한 이미지를 준비하자. 그리고 res 안의 values 폴더를 우클릭해서 dimens.xml 파일을 만들고 거기에 dp값 2개를 써둔다. 이 값들은 나중에 액티비티 코틀린 파일 안에서 사용할 것이다. 100dp 300dp 그리고 XML을 만든다. 뷰페이저를 만들었으면 안에서 보여줄 아이템의 XML도 만들어줘야 한다. 아이템의 XML을 만들었다면 뷰페이저2에 붙일 어댑터를 만든다. import android..

카메라는 내게 많이 생소한 영역이기도 하고 예전에 CameraX인지 뭔지가 새로 나왔다고 들었어서 최근에 코드랩을 따라 쳐보고 공부하긴 했었는데, 블로그에 남겨두면 나중에 찾아보기 더 좋을 것 같아서 남겨둔다. 시작하기 전에 내가 본 코드랩 주소는 아래에 남겨둔다. https://developer.android.com/codelabs/camerax-getting-started#0 Getting Started with CameraX | Android Developers This codelab introduces how to create a camera app that uses CameraX to show a viewfinder, take photos and analyze an image stream f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