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xjava cold observable
- 서비스 vs 쓰레드
- 안드로이드 os 구조
- 멤버변수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자바 다형성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스택 큐 차이
- Rxjava Observable
- ar vr 차이
- 스택 자바 코드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큐 자바 코드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android retrofit login
- ANR이란
- rxjava hot observable
- 플러터 설치 2022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클래스
- 객체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rxjava disposable
- android ar 개발
- jvm 작동 원리
- 2022 플러터 설치
- jvm이란
- Today
- Total
목록Android (402)
나만을 위한 블로그

※ 이 포스팅에서 사용하는 페이징은 페이징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구현이 아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https://medium.com/@rafiz19/handling-network-call-states-in-kotlin-coroutines-91aff82781a9 Handling Network Call States in Kotlin Coroutines As an experienced Android developer, I have seen the evolution of how we handle background tasks and threading in Android continue to… medium.com 사용하는 API는 NewsAPI라는 무료 API다. API 키를 받아서 사용..
hilt로 DI 처리를 한 후 단위 테스트를 실행할 때는 테스트 파일 맨 위에 @HiltAndroidTest 어노테이션을 적어줘야 한다. 그러나 이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해결법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공식 홈페이지에 있다. https://developer.android.com/training/dependency-injection/hilt-testing?hl=ko Hilt 테스트 가이드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Hilt 테스트 가이드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Hilt와 같은 종속 항목 삽입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 중 하나는 코드를 developer.android.com ..
단위 테스트를 실행했는데 제목과 같은 에러 문구가 나올 경우 앱 gradle에 아래 코드를 추가하면 잘 돌아간다. testOptions { unitTests.returnDefaultValues = true }
단위 테스트를 실행하니 제목의 저 문구가 출력되고 테스트 결과는 녹색이지만 "Test events were not received" 라는 문구가 나왔다. 해결법을 찾아보니 아주 단순했다. 테스트를 실행하려면 @Test 어노테이션을 붙여야 하는데 이 어노테이션의 import문을 확인해 본다. 아마 이렇게 되어 있을 수 있다. import org.junit.Test 이것을 아래의 import문으로 바꾼다.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이렇게 바꾸고 실행하니 테스트가 정상 작동했다. 참고한 사이트)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0474767/no-tests-found-for-given-includes-error-when-running-par..
StateFlow와 SharedFlow를 설명하는 공식문서가 어제 날짜인 3월 13일에 업데이트됐다. https://developer.android.com/kotlin/flow/stateflow-and-sharedflow?hl=ko StateFlow 및 SharedFlow | Kotlin | Android Developers StateFlow 및 SharedFlow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StateFlow와 SharedFlow는 흐름에서 최적으로 상태 업데이트를 내보내고 여러 소비자에게 값을 developer.android.com 이 공식문서 내용을 기준으로 StateFlow, SharedFlow에 대해 확인하고 둘의 차이도 같이 확인한다. Stat..

안드로이드의 Context는 추상 클래스로, 리소스 접근이나 액티비티 등 안드로이드 컴포넌트를 실행할 때 필요하다. 공식문서를 확인해보자.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kotlin/android/content/Context Context | Android Developers developer.android.com 앱 환경에 대한 전역 정보 인터페이스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구현을 제공하는 추상 클래스다. 앱 리소스, 클래스에 대한 접근은 물론 launch activity, 브로드캐스팅, 인텐트 수신 등 앱 수준 작업에 대한 상향 호출을 허용한다 액티비티를 이동할 때 startActivity()를 호출하는데 이 함수의 1번 인자로 Context를 넘기며, 다이얼..

작년 8월 29일 구글 개발자 블로그에 안드로이드 13의 출시 소식이 올라왔고 이제 곧 안드로이드 14의 최초 개발자 프리뷰가 올라오는 시점에 많이 뒷북같긴 하지만 확인하지 않는 것보단 나을 거 같으니 포스팅한다. 안드로이드 13 변경사항에 관한 구글 개발자 블로그 링크는 아래를 참고한다. https://developers-kr.googleblog.com/2022/08/android-13-is-in-aosp.html AOSP에서 Android 13이 출시되었습니다 작성자: Seang Chau (VP of Engineering) 이 글의 원문은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블로그 리뷰에는 노현석(GDE)님이 참여해주셨습니다. 오늘 Android 13 소스를 Android 오픈소스 프로젝트 (AOSP)에 제공..

Compose의 컴포저블 함수는 2종류로 나뉜다. 제목의 Stateful Composable과 Stateless Composable이 그것이다. 단순하게 Stateful과 Stateless를 보면 상태유지와 비상태유지라는 뜻이 각각 있어서, Stateful은 상태를 가졌으면 불리는 이름이고 반대로 상태를 갖고 있지 않으면 Stateless라고 불리는 게 아닐까 생각된다. 둘의 차이는 안드로이드 디벨로퍼보다 코드랩에 좀 더 잘 나와있다. 코드랩 전에 디벨로퍼부터 확인해본다. 위 내용은 생략하고 중간만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전체 문서를 확인해 보는 게 좋다. https://developer.android.com/jetpack/compose/state?hl=ko#stateful-vs-stateless 상태 및..

LazyHorizontalGrid와 LazyRow, LazyColumn을 쓰면 스크롤 가능한 뷰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 Lazy 종류 레이아웃들이 왜 나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Column과 Row를 스크롤 가능하게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 시 발생하는 일들을 확인한다. 먼저 적당히 화면을 만들어준다. @Composable fun ScrollableColumn( modifier: Modifier = Modifier ) { val scrollState = rememberScrollState() Column( modifier = modifier .fillMaxSize() .padding(12.dp) .verticalScroll(scrollState) ) { for (i in 0..100) { T..

LazyRow는 가로로 한 줄의 스크롤 가능한 뷰를 만드는 요소라면 LazyHorizontalGrid는 격자 모양으로 스크롤 가능한 뷰를 만드는 요소다. 디벨로퍼의 설명부터 확인한다.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kotlin/androidx/compose/foundation/lazy/grid/package-summary#LazyHorizontalGrid(androidx.compose.foundation.lazy.grid.GridCells,androidx.compose.ui.Modifier,androidx.compose.foundation.lazy.grid.LazyGridState,androidx.compose.foundation.layout.PaddingVa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