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jvm이란
- 안드로이드 os 구조
- 큐 자바 코드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ANR이란
- 스택 큐 차이
- 서비스 vs 쓰레드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rxjava hot observable
- rxjava disposable
- jvm 작동 원리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rxjava cold observable
- Rxjava Observable
- 2022 플러터 설치
- 클래스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플러터 설치 2022
- ar vr 차이
- android retrofit login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객체
- 스택 자바 코드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자바 다형성
- 멤버변수
- android ar 개발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Today
- Total
목록모르는 용어 정리 (28)
나만을 위한 블로그

SNS 로그인 API를 구현하거나 구글 쪽 API를 구현하다 보면 OAuth라는 키워드를 매우 자주 보게 된다. 예전에는 공부하느라 만들기 급급해서 알아보지도 않고 넘겼지만, 이제는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서 공부하고 포스팅하려 한다. 먼저 OAuth에 대해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OAuth OAuth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ko.wikipedia.org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 사이트 상의 ..
REST라는 단어에 대해선 예전에 포스팅했던 적이 있다. https://onlyfor-me-blog.tistory.com/228 REST란?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적 상태 전달? 대표적 상태를 전달한다는 게 무슨 뜻일까? 네이버 사전에선 REST를 이렇게 말하고 있다. - 확장성 생성 언어(XML) 파일로 된 웹 페이지를 읽어 원 onlyfor-me-blog.tistory.com 이번에는 Restful API라는 말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하는 포스팅을 쓰려고 한다. Restful이란 단어의 사전적 정의와 연관이 있는지 싶어 찾아보니 "(마음이) 편안한, 평화로운" 이라는 뜻이라, 사전적 정의는 별 도움이 안될 것 같아서 바로 위키백과를 찾아봤다. ht..
예전에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AR core를 공부하며 AR에 대해 간단하게 공부하고 포스팅했던 적이 있는데 내용이 빈약해서 다시 공부해보려 한다. 먼저 AR은 Augmented Reality의 약어로 '증강 현실'이란 뜻이 있다. 증강 현실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실존하는 사물이나 환경에 가상의 사물, 환경을 덧입혀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 또는 그런 기술로 조성된 현실 AR의 가장 좋은 예시는 예전에 유행했던 모바일 게임인 포켓몬 고다. 아무것도 없는 환경에 가상의 포켓몬 이미지를 띄워놓고 몬스터볼을 던져 잡을 수 있는 수집형 게임이다.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AR은 아래와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6%9D%EA%B0%95..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프로세스 : 컴퓨터 안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컴퓨터 분야에선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란 뜻으로 쓰인다. 쓰레드 : 프로세스 안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최소 하나의 쓰레드가 존재함 그럼 프로그램이란 뭘까?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해 차례대로 작성된 명령어 모음. 프로그래머가 처리 순서를 결정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함 위의 뜻대로라면 프로세스는 '컴퓨터 안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명령어 모음'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쓰레드는 '명령어 모음 안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게 맞는지 다른 글들을 확인해봤다. https://velog.io/@raejoonee/%ED%94%84%EB%A1%9C%EC%84%B8%EC..

서버 사이드 렌더링,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은 각각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무언가를 렌더링한다는 뜻으로 유추된다. 무엇을 렌더링할까? 바로 웹 페이지다. 네이버 기술 블로그에서 설명하는 SSR은 아래와 같다. https://d2.naver.com/helloworld/7804182 SSR은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페이지를 모두 구성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JSP/Servlet의 아키텍처에서 이 방식을 사용했다. SSR을 쓰면 모든 데이터가 매핑된 서비스 페이지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바로 보여줄 수 있다. 서버를 이용해 페이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보다 페이지 구성 속도는 느리지만 전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컨텐츠 구성이 완료되는 시점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S..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아래와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0%9D%EC%B2%B4_%EC%A7%80%ED%96%A5_%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영어: 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 중 하나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ko.wikipedia.org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예전에 1:1 영상통화를 만들려고 수박 겉핥기 식으로 보고 말았던 기술인데, 내가 한 것들을 조금 되돌아보면서 이 기술을 왜 썼었는지 기억이 안 났다. 그래서 포스팅해서 기록이라도 해두려고 한다. 먼저 WebRTC라는 단어를 봤을 때 Web과 RTC가 붙어있는 형태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WebRTC 자체가 무엇인지 보기 전에 각 단어의 뜻에 대해서 확인해 보기로 했다. 웹은 뭘까? 웹은 월드 와이드 웹(WWW)의 약자로, 이것에 대한 위키백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주관적으로 봤을 때 웹과 관련된 것 같지 않은 내용은 생략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World_Wide_Web World Wide Web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

함수(Function)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의 모음 메서드(Method) : 클래스에 종속되어 존재하는 코드들의 모음 함수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위 코드는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중 하나를 가져온 것이다. 보면 앞에 function이란 키워드가 붙어있고, 함수의 이름과 중괄호 밑에는 if문들이 보인다. 함수는 함수명 뒤에 소괄호를 붙여서 그 안에 함수를 작동시킬 때 재료로 넣을 인자(매개변수)라는 것을 넣어 이를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위의 함수로 치면 e라는 인자를 받는 keyDownHandler라는 함수는 이 인자를 갖고 if문 안의 내용들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수는 클래스에 속하지 않고 함수명을 적으면 곧바로 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코드 조각을 말한다. 클래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