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NR이란
- 클래스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서비스 vs 쓰레드
- 2022 플러터 설치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rxjava cold observable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자바 다형성
- Rxjava Observable
- 스택 큐 차이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jvm이란
- 큐 자바 코드
- 멤버변수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안드로이드 os 구조
- jvm 작동 원리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ar vr 차이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rxjava hot observable
- android ar 개발
- android retrofit login
- 객체
- rxjava disposable
- 플러터 설치 2022
- 스택 자바 코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4/10/09 (1)
나만을 위한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Ness/btsJZvVYyD8/lqK3fGiOKUn4bgTGjJeNEk/img.png)
이 포스팅에선 컴포즈에서 마진을 설정하는 방법들을 정리한다. 앱을 만들면 필수적으로 마진, 패딩을 입혀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패딩은 Modifier의 padding()을 사용하면 되지만 마진은 다양한 방법들이 있어서 정리하려고 한다. Modifier.padding() 정확히는 요소 주변에 공간을 추가해서 마진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내부 컴포넌트와 부모 레이아웃 사이에 공간을 추가한다. @Composablefun Test() { Scaffold( modifier = Modifier.fillMaxSize(), ) { innerPadding -> Column( modifier = Modifier .padding(innerP..
Android/Compose
2024. 10. 9.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