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나만을 위한 블로그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 캐릭터의 좌표 (Kotlin) 본문

알고리즘 문제 풀이/프로그래머스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 캐릭터의 좌표 (Kotlin)

참깨빵위에참깨빵_ 2023. 1. 13. 14:58
728x90
반응형
RPG 게임에는 up, down, left, right 방향키가 있으며 각 키를 누르면 상하좌우로 1번씩 이동한다. 예를 들어 [0, 0]에서 up을 누르면 [0, 1], down을 누르면 [0, -1], let를 누르면 [-1, 0], right를 누르면 [1, 0]이다. 입력한 방향키의 배열 keyinput과 맵의 크기 boa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진다. 캐릭터는 항상 [0, 0]에서 시작할 때 키 입력이 모두 끝난 뒤 캐릭터의 좌표 [x, y]를 리턴하는 solution()을 완성하라

 

 

지문이 좀 길긴 한데 결국 상하좌우 키를 한 번씩 누르면 캐릭터가 어느 축의 어느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하는지와 게임판 board에서 캐릭터가 이동 가능한 최대 반경만 구하면 된다.

지문 바로 밑 예시에서 board의 가로 크기가 9면 캐릭터는 왼쪽으로 최대 -4, 오른쪽으로 최대 4칸을 이동할 수 있다. 이 대목에서 board 배열 안에 주어지는 각 값들을 2로 나눈 값이 최대 이동 반경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이 값을 넘어서 이동하려는 경우만 이동하지 않도록 처리해주면 된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keyinput: Array<String>, board: IntArray): IntArray {
        val answer: IntArray = intArrayOf(0, 0)
        val list = keyinput.toList()
        for (i in list) {
            when (i) {
                "left" -> {
                    if (answer[0] <= -(board[0] / 2)) {
                        continue
                    }
                    answer[0] -= 1
                }
                "right" -> {
                    if (answer[0] >= board[0] / 2) {
                        continue
                    }
                    answer[0] += 1
                }
                "up" -> {
                    if (answer[1] >= board[1] / 2) {
                        continue
                    }
                    answer[1] += 1
                }
                "down" -> {
                    if (answer[1] <= -(board[1] / 2)) {
                        continue
                    }
                    answer[1] -= 1
                }
            }
        }

        return answer
    }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