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서비스 쓰레드 차이
- rxjava cold observable
- 멤버변수
- 2022 플러터 설치
- 스택 큐 차이
- ANR이란
- jvm이란
- rxjava disposable
- android ar 개발
- 안드로이드 유닛테스트란
- 큐 자바 코드
- Rxjava Observable
- 안드로이드 os 구조
- 객체
- 플러터 설치 2022
- 자바 다형성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 서비스 vs 쓰레드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사용법
- 안드로이드 레트로핏 crud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예시
- jvm 작동 원리
- 스택 자바 코드
- android retrofit login
- rxjava hot observable
- 2022 플러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클래스
- ar vr 차이
-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 안드로이드 라이선스 종류
Archives
- Today
- Total
나만을 위한 블로그
[Manifest-Android] 17. Bundle 본문
728x90
반응형
컴포넌트(액티비티, 프래그먼트, 서비스) 간 데이터 전달에 쓰이는 키밸류 데이터 구조. 앱에서 적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쓰인다. 가벼운 구조로 설꼐되어 안드로이드가 데이터를 쉽게 관리,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시리얼화한다.
Bundle의 공통 사용 사례
- 액티비티 간 데이터 전달 : 새 액티비티 시작 시 인텐트에 번들을 첨부해서 대상 액티비티에 데이터 전달
- 프래그먼트 간 데이터 전달 : 프래그먼트 트랜잭션에서 setArguments, getArguments와 같이 쓰여서 프래그먼트 간 데이터 전달
- 인스턴스 상태 저장, 복원 : onSaveInstanceState, onRestoreInstanceState 같은 생명주기 함수에서 구성 변경 시 임시 UI 상태를 저장, 복원 시 쓰임
- 서비스에 데이터 전달 :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bound service에 데이터 전달 시 번들로 데이터 전달
Bundle 작동 방식
키는 문자열이고 값은 원시 타입이다. Serializable, Parcelable 객체거나 다른 번들일 수 있다. 이 구조는 데이터의 효율적 저장,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Sending data from Activity A
val intent = Intent(this, ActivityB::class.java).apply {
putExtra("user_name", "John Doe")
putExtra("user_age", 25)
}
startActivity(intent)
// Receiving data in Activity B
val name = intent.getStringExtra("user_name")
val age = intent.getIntExtra("user_age", -1)
위 코드에서 데이터는 intent.putExtra()를 통해 내부적으로 번들에 패키징된다.
반응형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nifest-Android] 19. Fragment Result API (0) | 2025.06.30 |
---|---|
[Manifest-Android] 18. 액티비티, 프래그먼트 간 데이터 전달 (0) | 2025.06.30 |
[Manifest-Android] 16. Task, Back Stack (0) | 2025.06.30 |
[Manifest-Android] 15. 딥링크 (0) | 2025.06.23 |
[Manifest-Android] 14. ANR (0) | 2025.06.23 |
Comments